여행 143

[종로구 혜화] 서울 역사 탐방 - 대한의원 본관 및 병동 유적

주소 : 서울 종로구 대학로 101 서울대 병원을 방문하면 본관 앞에 시계탑이 있는 대한의원 건물이 보이는데 대한의원 건물로 향햐다보면 대한의원 병동 유적지가 있어요. 이 유적지는 감염 문제를 고려한 파빌리온 형태로 축조된 건물로서본관 배후애서 환자수용 역할을 하던 곳으로병동구역에는 2등 병실로 구성된 병동 4개 동과 3등 병실로 구성된병동 2개 동이 있었으며 모두 2개의 회랑으로 본관과 연결되었다고합니다. 각 병동은 벽돌로 벽체를 쌓은 단층 건물로 축조하였고 지면과 바닥 사이에공간을 띄워 통풍 및 방습, 방충 기능을 하도록하였고 건물 축조에 사용된 벽돌은대한제국 탁지부 건축소 산하의 연와제조소에서 제작된 벽돌을 사용했다고해요 현재 병동의 상부 구조는 모두 멸실되었으나 대한제국기에서 현대에 이르기까지 내..

여행/서울 2024.09.10

[종로구 혜화] 서울 역사 탐방 - 서울재수복 후 미제8군사령부 터

대학로 마로니에공원 옆에 예술가의 집 건물 앞에 표지석이 있어 읽어보니이 곳이 서울 재수복 후 미 제8군사령부터 6.25 전쟁 당시서울대 문리대학 건물이었던 현 동숭동 한국문화예술 위원회는 1951년 3월 서울 재수복 후대구에 있던 미 제8군사령부가 옮겨와 사용했던 곳이라고합니다.  미 제8군은 1950년 7월 9일 일본에서 한국으로 들어와 대구에 사령부를 설치하고 한국군을 비롯한지상군 부대를 통합 지휘했다고해요. 미 제8군사령부는 정전협정이 체결된 직후인 1953년 8월 15일 이 곳에서 용산으로 이전했고 9월 15일 전쟁 중에  사용했던 서울대 문리대학 건물을 반환했고 이 건물은 6.25 전쟁 당시 미 제8군사령부의 위상과 역할을 상정적으로 보여주는 곳으로 현존하고 있다는 점에서 역사적 가치가 높다고..

여행/서울 2024.09.09

[종로구 혜화] 서울 역사 탐방 - 이를 모를 자유전사의 비

이 기념비는 서울대병원 장례식장 근처에 세워진 비로서울대병원을 간다해도 장례식장 근처로 갈 일이 없어  기념비가 있었는지 몰랐는데장례식장 쪽으로해서 서울대병원을 갈일이 있어 지나가다 우연히 보게되었어요. 이 곳은 6.25전쟁 개전 초기에 부상을 당해 치료를 받다 학살 당한 군인들과이들을 지키기 위해 끝까지 싸운 이름 모를 자유 전사들의 넋을 위로하는 곳으로 의술로써 군인들을 돌보다 분한군의 만행에 숨져간 의료인들을 깊이 생각케 하는 곳이라고하네요. 기념비 앞에 설명되어 있는 내용을 읽다보니 맘이 너무 아팠고 이런 곳을 널리 널리 알려졌음 좋겠어요.저처럼 장례식장이나 근처로 지나다니시는 분들 아니면 잘 모를거같아요

여행/서울 2024.09.09

[종로구 혜화] 서울 역사 탐방 - 장경교 터

예술가의 집 근처를 지나가다보면 주차장 입구에 장경교 터라고 표석이 있는 것을 볼 수가 있는데장경교는 흥덕동 천과 어의동구길(현, 동숭길)이 만나는 곳에 놓여 있던 돌다리라고합니다. 정조가 임금이 되던 해인 1776년 여름,경모궁에 행차하기 위해 만들었으며 길이는 10.5미터 폭은 6미터 정도로장경교의 장경은 '경사와 상서로움이 천만년 지속된다'라는 뜻이라고도하네요.

여행/서울 2024.09.06

[종로구 혜화] 서울대병원 본관 앞에 있는 동상 - 지석영 동상

혜화에 있는 서울대병원 안에 지석영 동상이 위치해 있다고 하는데본관 앞에 의학박물관이 있어 그 앞에 동상이 위치해 있더라구요 지석영(1855. 05.15 ~ 1935.02.01)은 조선 말기의 문신이자 한의사며 한글 학자로자는 공윤으로 아호는 송촌으로 본관은 충주라고합니다.그는 1883년(고종20년) 문과에 급제하여 사헌부 장령 형조 참의 등을 역임하였으며 종두법의 하나인 우두법의 보급에 공헌하시기도 했다고해요. 지석영선생에 대해는 알고있었지만서울대 병원 안에 동상이 있었던건 이제 알게되었어요~

여행/서울 2024.09.06

[종로구 혜화동] 혜화동 옛 시장공관-한양도성 혜화동전시안내센터

주소 : 서울 종로구 창경궁로35길 63 운영 시간화~일 09:30 ~ 17:30휴무일 월요일홈페이지 : seoulcitywall.seoul.go.kr문의 : 02-766-8520이 곳은 서울시장 공관으로 서울 시내에 얼마 남지 않은 1940년대 목조 건출물이라고합니다.1959년부터 20년동안 대법원장 공관으로 4.19 혁명재판의 판견물이 작성되는 등 대한민국 사법부의 중요한 역사현장으로1981년부터 2013년까지 33년간 서울시장 공관으로 사용되면서 24시간  잠들지 않는 행정이 이루어진서울시 역사의 일부라고도하네요.

여행/서울 2024.07.22

[종로구 혜화] 서울 역사탐방 - 고산 윤선도 생가의 터

주소 : 서울 종로구 동숭동 마로니에 공원 안에는조선 중기의 문신이자 시가 문학의 2대 시성으로 불리는 고산 윤선도(1587 ~ 1671) 선생의 집터라고 표지석이 있는데윤선도 선생은 연화방이라 불리던 현재의 연지동에서 태어났고 1595년 8세 되던 해에 작은 아버지인 윤유기의 양자로 들어가 숭교방에서 성장하셨다고해요. 윤선도 선생은 조선시대를 대표하는 시조 시인으로문학은 물론 정치와 행정 방면에도 뛰어난 재능을 가지고 있던 그는 봉림대군의 스승이 된 후 남인의 핵심으로 떠올랐다고합니다. 윤선도 선생은 할 말은 꼭 하는 성격 탓에 서인의 집중 공격을 받곤 하셨으며그의 정치 인생 20년은 귀양생활을 해야했고 19년간 벼슬을 내놓고 자연 속에서 살아야 했다고합니다.

여행/서울 2024.07.22

[종로구 혜화] 예술과 문화의 마로니에공원에 있는 동상-김상옥열사의상

주소 : 서울 종로구 동숭동 대학로 마로니에공원에는 김상옥 열사의 동상이 서 있는 것을 볼 수 있는데김상옥(1889 ~ 1923)은 동숭동에서 태어니 23세 되던 해에 1912년 비밀결사 광복단을 조직하고 일본 상인을 대항해 일화배척과 국산품장려운동을 벌인 인물로34세에 종로경찰서에서 폭탄을 투하하고 이곳 동숭동 마로니에 공원에서 총격전을 벌이다 장렬하게 전사하여 한국인의 기상과 위상을 널리 천명하였다고해요.

여행/서울 2024.07.19

[종로구 혜화] 대학로 가볼만한 곳 - 마로니에공원

주소 : 서울 종로구 대학로 104 영업 시간매일 00:00 ~ 24:00문의 : 02-2148-4158 마로니에공원은 시민들을 위해 문화예술의 터전인 곳으로 공원이 되기 전에는 서울대학교 문리대, 법대 자리라고합니다.  이 곳에는 마로니에 나무가 자라고 있는데 1929년 4월에 서울대학교 전신인 경성제국대학 시절에심은 나무로 이 나무 이름을 따서 마로니에공원이라는 이름이 붙여졌다고해요. 어린이 놀이터가 있고 야외무대, 분수공원, 조각품 등이 전시되어있으며야외무대는 가수들의 공연장과 각종 문화행사장으로 활용하고있으며공원 주위로는 문예회관 대극장과 바탕골소극장, 동숭아트센터 등의 소극장이 자리하고있어요.

여행/서울 2024.07.19

[성북구 성북동] 문학적 공간으로 성북을 만나다 - 성북근현대문학관

주소 : 서울 성북구 성북로21길 24 운영 시간화~일 10:00 ~ 18:00휴무일 월요일추석전날추석당일추석다음날문의 : 02-2241-1939 한문학의 주요 배경지엿던 성북의 문학적 기반은 근현대작품에도 이어졌는데1930년대에는 김억, 이태준 등 작각 많이 살아 문인촌이라고 불릴정도였다고합니다.이러한 문학전 공간 특성을 바탕으로 성북동에는 성북근현대문학관에서는문화예술의 도시 성북의 모습을 지역 문인들과 그들의 작품을 통해 만나 볼 수 있다고해요. 성북근현대발물관은 지하 1층부터 2층으로 3개의 층으로 구성되어 있는데지하1층은 자료열람실과 교육실1층은 기획전시실2층은 상설전시실로 되어있다고해요 지하1층인 자료열람실과 교육실에서는 다양한 문학 작품을 자유롭게 읽어볼 수 있다고합니다. 저는 개관하자마자 바..

여행/서울 2024.07.18